정부의 한국은행 ‘마이너스 통장’ 사용, 150조 원(미화 1,040억 달러)에 근접 – 재정 압박의 사상 최대 적신호

일자: 2025년 9월 8일
출처: 조선일보, 매일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문화일보

집행 요약 (Executive Summary)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한국 정부는 한국은행(BOK)의 일시적 당좌대월 제도, 소위 ‘마이너스 통장(마통)’을 통해 누적 145조 5천억 원(미화 1,040억 달러)를 차입했다. 이는 2024년 같은 기간의 종전 최고치인 127조 9천억 원(미화 910억 달러)를 13.8% 상회하는 수치이다.

월별 차입 현황:

  • 1월: 5.7조 원 (41억 달러)

  • 2월: 1.5조 원 (11억 달러)

  • 3월: 40.5조 원 (289억 달러)

  • 4월: 23.0조 원 (164억 달러)

  • 6월: 17.9조 원 (128억 달러)

  • 7월: 25.3조 원 (181억 달러)

  • 8월: 31.6조 원 (226억 달러)

8월 말 기준 잔액은 22.9조 원(164억 달러)으로 집계되었다.

2026년 예산안은 총 728조 원(미화 5,200억 달러)으로, 2025년 본예산 673.3조 원(4,810억 달러) 대비 8.1% 나 증가했다. 세수 부족을 메우기 위해 정부는 내년에 100조 원(714억 달러) 이상의 적자 국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다섯 가지 법칙(Five Laws of Epistemic Integrity)

1. 정보의 진실성
– 수치는 국회에 제출된 한국은행 공식 자료와 일치.
– 복수 언론 보도와의 일관성 확인.
판정: 높음

2. 출처 인용
– 조선일보, 매일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문화일보 보도 인용.
– 국회 제출 자료에 기반해 신뢰도 강화.
판정: 높음

3. 신뢰성과 정확성
– 수치는 정밀하나, 한국은행의 정책 의도에 대한 상세 설명은 보도에 결여.
– 중기 재정전망이 아닌 단일 사건 데이터에 의존.
판정: 중–상

4. 맥락적 판단
– ‘마이너스 통장’이라는 비유는 대중적 이해를 돕지만 구조적 재정 악화를 희석.
– 보도는 부채 지속 가능성, 신용등급, 통화 독립성에 대한 함의를 대체로 누락.
판정: 부분적

5. 추론의 추적 가능성
– 논리적 추론: 당좌대월 사용 증가 = 만성적 세수 부족 반영.
– 결여: 국제 비교(IMF/OECD 기준치), 역사적 선례(예: 1990년대 일본 부채 악화).
판정: 제한적이나 추적 가능

BBIU 의견 – 한국의 국내 부채 악순환: 한은 마통에서 국민연금까지

2025~2026년 한국의 재정 경로는 위험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행 마통 의존 증가, 적자 국채의 사상 최대 발행, 그리고 국민연금(NPS)을 포함한 국내 금융기관의 국가 부채 점진적 흡수. 동시에 재벌의 미국 이전과 소비세 성격의 새로운 역진적 과세(예: 설탕세)로 가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공식 국채 수익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10년물 약 2.8%)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이는 구조적 함정을 가리고 있다. 현재 이자비용은 이미 GDP의 약 1%를 차지하며, 2026년에는 1.3%로 상승할 전망이다. 수익률이 정상화(+12%)될 경우 이자비용은 GDP의 22.5%까지 치솟을 수 있다. 이는 수십 년간 아르헨티나가 경험한 통화 발행, 연금 포획, 산업 탈출, 역진적 과세의 악순환을 연상시킨다.

주요 구조적 요인 (Key Structural Factors)

  1. 만성적 재정적자: 수출 부진, 내수 둔화, 인구구조 압력으로 세입 저조. 반면 지출은 확대(2026년 예산 728조 원, 전년 대비 +8.1%).

  2. 한국은행 마통을 통한 사실상의 통화 발행: 2025년 1~8월 차입액 145.5조 원, 사상 최대. 이는 명목 부채에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재정 규율 약화를 초래.

  3. 국내 부채 및 이자비용 증가: 2026년 국가부채 1,250조 원(8,900억 달러, GDP의 약 55%). 이자비용은 2025년 30조 원(1% GDP) → 2026년 36조 원(1.21.3% GDP). 수익률 +12% 상승 시 5060조 원(2~2.5% GDP).

  4. 금융시스템 왜곡: 은행·보험사는 수익성 때문이 아니라 규제·정치적 압력으로 국채 매입. 사실상 금융시스템에 부과되는 간접세.

  5. 연금 포획 위험: 세계 3위 규모의 국민연금(~7,000억 달러)은 외국인 투자자 이탈 시 더 많은 저수익 국채를 강제 흡수할 가능성. 이는 세대 간 연금 지속성을 훼손.

  6. 산업 기반 약화 및 역진적 과세: 반도체·조선·방산 등 재벌의 미국 이전 → 국내 세원 공백. 정부는 설탕세 등 소비세로 보충, 사실상 가계·중소기업 대상의 착취 구조.

비교 시각: 아르헨티나와의 평행선

  • 재정적자 통화화 (한은 마통 ≈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임시선급금’)

  • 국민연금 착취 (NPS ≈ 아르헨티나 ANSES)

  • 산업 탈출 (재벌 미국 이전 ≈ 아르헨티나 자본도피)

  • 역진적 과세 (설탕세 ≈ 아르헨티나 수표세·식품세)

  • 이자 악순환 (GDP에서 부채 서비스 비중 급증)

차이는 한국이 여전히 강력한 산업 챔피언과 국제적 신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구조적 논리는 놀라울 만큼 유사하다.

BBIU 구조적 의견

한국은 세 가지 메커니즘이 맞물린 국내 부채 악순환에 진입하고 있다:

  1. 유동성 통화화 – 한은 마통에 의존 → 재정 취약성 신호

  2. 국민연금 착취 – 국민연금·국내 은행에 강제적 국채 흡수 → 미래 수익 훼손

  3. 역진적 과세 – 산업 세원 붕괴 보충을 위한 소비세 → 사회적 정당성 비용

이는 성장 기반의 재정 모델에서 추출 기반의 생존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상징적으로, 한국은 선진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아르헨티나식 부채 함정을 거울처럼 반영할 위험을 안고 있다.

부록 – 한국의 재정 지속 가능성 전망 (2025~2028)

2025~2028년 전망은 세 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 1단계: 억제와 비용 전가 (2025년 말~2026년 상반기)

  • 2단계: 복합적 압력과 선거 전 왜곡 (2026년 하반기~2027년 상반기)

  • 3단계: 강제적 정상화 (2027년 하반기~2028년)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2027년 IMF 프로그램 의존. 이는 원화(KRW) 부도 때문이 아니라 **달러 의무(LNG 수입, 대외 채무)**에서 비롯된 국제수지 위기가 기폭제가 될 것이다.

결론:
한국은 국내 부채 , 산업 기반 약화, 달러 의무가 교차하는 구조적 취약성에 직면해 있다. 현 정부는 차기 선거까지 현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며, 그 시점에 누적된 약속이 급성 위기를 촉발할 것이다. 조기 시정 조치 없이는 2027년 IMF 구제금융 의존이 기본 시나리오가 되며, 이는 임의적 확장에서 외부 감독하 안정화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Previous
Previous

핵심에서의 교착: 한·미 무역 협정, 외환 문제와 트럼프의 경고 속에 흔들리다

Next
Next

조기 유방암에서의 보조적 CDK4/6 억제제 사용: 이득, 비용, 그리고 저항성 암의 재발 - 새로운 역설